글로벌기업 유치해야 강소특구 살아난다
글로벌기업 유치해야 강소특구 살아난다
  • 여종승 기자
  • 승인 2019.07.03 10:2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전해철 의원 ‘강소특구 지정’ 정책토론회 가져

전해철 국회의원이 마련한 수도권 최초 강소특구 지정 기념 정책토론회에서 글로벌 기업을 유치해야 강소특구가 살아날 수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이같은 주장은 전 의원이 상록구청 상록홀에서 28일 가진 ‘안산사이언스밸리 강소특구 지정의 의미와 향후계획 정책토론회’에서 나왔다.

안산이 수도권 최초 강소연구개발특구 지정 관련 내용을 주민과 공유하고 논의하기 위해 정책토론회가 김태희 시의원의 사회로 진행됐다.

정책토론회를 준비한 전해철 의원은 “강소특구 지정으로 국비지원 등의 각종 혜택이 있지만 각 기업의 기술적 결합을 해 나가는 것이 중요하다. 특구재단이 갖고 있는 전문성과 경험을 잘 활용해서 안산이 강소특구 성공 모범사례가 되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 양성광 이사장은 ‘초연결시대 지역주도 혁신성장과 강소특구’를 주제로 한 기조발제에서 “4차 산업혁명시대는 초지능화, 초연결, 가상화로 이어지며 속도, 범위, 영향력에서 기존 산업혁명과 차별화된다. 이런 변화 때문에 위험요소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해 아직 태어나지도 않은 후손들의 삶이 우리에 의해 좌우된다. 전 세계 상위 10대 기업이 10년 사이에 엄청난 변화가 있다. 우리나라 10대 수출상품 비중이 지난해 반도체 20.6%, 석유제품 7.4%, 자동차 6.8% 등으로 58.3%다. 10년 동안 업종이 거의 바뀌지 않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국내 유니콘기업의 경우 전자상거래와 핀테크, 인터넷S/W, 공유서비스에 국한돼 있고 헬스나 전기차, 빅데이터, 교육, 전자보안, SNS 분야는 전무하다. 확장성 부족이 문제다”라고 지적했다.

양 이사장은 “우리나라 지역 혁신 클러스터 역할이 중요하지만 기술을 연결해서 활용하지 못한다. 기존 특구는 규제편의 기반 요건으로 대형화, 분산화 돼 있어 집적·연계효과가 약화돼 있다. 강소특구는 기술핵심기관과 배후공간을 연계해서 집약효과를 내야 성공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안산 강소연구개발특구의 경우 기술핵심기관인 한양대 에리카 캠퍼스를 중심으로 경기TP와 생기연 등을 사업화촉진지구로, 시화MTV 산단을 사업화 거점지구로 만들고 정보통신기술(ICT) 융복합 부품소재를 특화시켜야 한다. 안산은 기술핵심기관과 배후 공간 근접이 장점이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양성광 이사장은 “장기계획으로 한양대와 맞붙은 사동 192 일원 제3토취장에 글로벌 기업이나 대기업을 유치해야 강소특구가 살아난다. 이 부지의 용도를 ICT 융복합 부품소재 분야 기업연구소를 비롯 대기업과 창업 기업이 입주할 수 있어야 하고 사업화 관련 시설 등의 입주공간으로 제공해야 한다. 글로벌 R&D 클러스터로 조성해야 한다”는 구상안을 내놨다.

송한준 경기도의장이 좌장으로 진행한 토론회에서 경기테크노파크 배수용 원장은 “수도권에 위치한 안산이 강소특구로 지정받을 수 있었던 계기는 문 대통령 후보시절 공약에 반영했기 때문이다. 경기TP의 20년 동안 축적된 노하우를 바탕으로 연구기관과 협력해서 열심히 하겠다”고 말했다.

안산시 최종은 산업본부장은 “안산이 중소기업 전문 산단이다. 대출금 이자도 못 갚는 기업이 30%다. 국가 공모사업이 단편적으로 끝나는 경우가 많다. 규제를 많이 받는 수도권에서 강소특구가 지속성을 가지길 기대한다. 경기도의 지속적인 지원이 뒤따라야 산단 살릴 수 있다. 안산시도 제3토취장을 특구에 포함시켰으면 하는 바람이다”고 밝혔다.

고려대 안산병원 최병민 원장은 “4차 산업혁명시대는 의료산업화가 부상하고 있다. 의과대학과 대학병원의 역할이 중요한 시대다. 의학은 인간에게 유용성과 위해성을 연구하고 실용을 검증하는 분야다. 고대병원이 강소특구 제품 실용화 과정에 기여하도록 하겠다”고 전했다.

한국전기연구원 최규하 원장은 “의료기기는 물론 인간이 사용하는 모든 제품이 전기 없이 사용할 수 없다. 협동 로봇틱스를 비롯 사물 인터넷, 차세대 에너지 부품소재에 이르기까지 모든 제품이 전기연구원과 연계돼 있다. 전기연구원이 입주해 있는 사이언스밸리의 건폐율이 부족하다. 강소특구 지정을 계기로 사이언스밸리의 건폐율을 늘려 달라”고 주문했다.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안산연구센터 손웅희 소장은 “반월공단은 뿌리산업단지다. 반월산단의 뿌리산업이 죽고 있다. 산업이 변하는데 못 따라가고 있어서 그렇다. 생기연은 금형, 도금, 주물 등의 생산기술을 지원하는 곳이다. 생기연 등의 안산사이언스밸리의 축적된 기술이 강소특구를 성공시켜 나갈 수 있다. 사이언스밸리내 입주 연구소 대부분의 20년 토지 무상임대 기간이 끝나가고 있다. 대책마련이 필요하다”고 요구했다.

한국산업기술시험원 박정원 부원장은 “시장에서 요구하는 제품은 성능, 품질, 신뢰성, 안전성 등의 4가지다. 산업기술시험원은 PQRS 성능평가기관이다. 안산사이언스밸리는 다양한 기관이 모여 있다. 강소특구 성공 확률이 매우 높다. 기존 기술과 첨단사업을 어떻게 접목시켜 나갈지 고민해야 한다. 그래야 기업 생태계가 발전한다”고 강조했다.

한양대 LINC+사업단 최지웅 단장은 “실용학문을 추구해온 한양대 에리카 캠퍼스 안에 안산사이언스밸리가 구축돼 있다. 강소특구로 지정받은 중요한 이유다. 진정한 팀을 꾸리고 강소특구를 만들어 젊은이들이 몰려 올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다짐했다.

전해철 의원은 마무리 발언에서 “안산사이언스밸리와 지역 소재 대학에 석·박사 2천여 명이 있다. 지역발전을 위해 필요한 것이 무엇인가 고민하다 강소특구를 준비하기 시작했다. 안산은 수많은 연구원과 대학, 기업이 있기 때문에 강소특구를 성공할 수 있다. 안산시와 경기TP가 잘 꿰매서 반드시 성공시켜야 한다. 안산이 강소특구 전도사가 되어야 한다”며 토론회를 마쳤다. <여종승 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