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인의 책무와 언론의 역할
지식인의 책무와 언론의 역할
  • 안산뉴스
  • 승인 2020.02.26 10:5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이혜숙 안산학연구원 학술연구센터 소장

최근 경향신문에 ‘민주당만 빼고’라는 제목으로 기고한 임미리 교수 칼럼에 대해 온 나라가 시끄러웠다. 더불어민주당이 여당에 비판적인 칼럼을 쓴 임교수와 해당 신문사를 공직선거법위반으로 고발한 것이다. 이후 민주당은 비판에 못 이겨 취하했지만 반민주적인 행태라며 후폭풍이 거세게 일었다. 칼럼에서는 민주당이 “촛불정권임을 자임하면서도 국민의 열망보다 정권의 이해에 골몰하고 있다”며 이번 총선에서 “민주당만 빼고, 투표하자”고 제안했는데, 이글이 고발당하자 임교수는 더 강한 어조로 “민주당의 참패를 바란다” “그래서 민주화 이후 민주주의 역사를 제대로 다시 쓸 수 있기를 바란다”고 강조의 메시지를 보냈다. 이에 진중권 전 동양대 교수와 민변 소속의 권경애 변호사는 ‘나도 고소하라’며 릴레이 미투 발언을 하고 나섰다. 한편 민주당 진영논리의 선동자인 유시민은 “임미리 교수의 칼럼은 질 낮은 진보 코스프레”라며 논란의 본질을 왜곡하더니 오히려 민주당은 표현의 자유를 보장하고 수호하려 노력했다며 모순된 주장을 하고 있다. 이즈음에 우리는 지식인의 책무와 언론의 역할에 대해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지식인이란 문명시대 이후 새롭게 형성된 계층으로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 사전에서는 그 개념을 ‘지식계급에 속하면서 그에 상응하는 사회적 임무를 수행하는 사람’이라고 정의했다. 역으로 해석하자면 사회적 임무를 수행하지 못하는 지식인은 참 지식인이 아니며 나아가 지식인이 사회적 책무를 방기(放棄)해서는 안 된다는 의미를 함축하고 있다. 또 언론이란 사회적 동물인 인간이 상호 생각과 뜻을 표현하고 교환하는 커뮤니케이션의 장이고 사회화 과정을 연결해 주는 도구이다, 슈람(Schramm, W)은 언론의 기능을 사회 구성원의 지식의 공유화, 사회화, 불만해소와 즐거움을 선사하며 나아가 정책합의 성취와 지지자를 설득해 의도한 방향으로 행동을 통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고 했다. 따라서 언론과 지식인은 민주주의가 부여한 표현의 자유를 바탕으로 올바른 지향점을 제시하고 건강한 비판을 선도할 사회적 책임이 있다는 것이다.

역사적으로 살펴보면, 일제강점기 다수의 지식인과 언론은 민중과 민족에게 이정표를 제시했다. 우리나라 최초의 민간 독립신문을 창간한 서재필은 갑신정변 개혁이 실패하자 일본과 미국 유학을 마치고 최초의 민간 독립신문을 창간했다. 이는 위로부터의 개혁인 갑신정변이 실패하자 민중의 지지가 필요함을 인식한 처사였다. 권력기관의 잘못과 관리의 무능부패를 가차 없이 세상에 알려 민중을 일깨웠다. 논평과 비평을 신문의 중요 기능으로 여겨 정치개혁, 구습타파, 국민 계도에 힘썻고, 조선일보, 동아일보와 함께 항일운동 선봉에 섰다. 또 황성신문 대표 장지연은 일사늑약에 반대하는 ‘시일야방성대곡’의 논설을 기고해 경무청으로부터 정간명령을 받자, 대한매일신보가 호외를 발행해 그 뒤를 이었으며, 주권 회복을 위해 나라 빚을 갚자고 서상돈이 ‘국채보상운동’을 주도할 때도 대한매일신보가 적극적으로 호응해 성공했다. 이렇듯 시대의 변화 저간에는 지식인과 언론의 역할이 있었다. 1884년 갑신정변에서 처음 주창된 신분제 폐지는 현대사회의 화두인 불평등의 문제로 아직도 완전히 해결하지 못한 숙제이지만 정도의 변화는 분명히 있어왔다. 그것이다. 인간 존중의 끊임없는 변화를 위해 지식인 그리고 언론의 역할은 꼭 필요한 시대적 사명이자 책무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